티스토리 뷰

수원 시내 중심부에 위치한 수원화성은 한국 성곽문화의 백미로 꼽힌다. 세계 최초로 계획된 신도시로 국내는 물론 외국 성곽의 장점만 흡수하는 완벽한 도시벽체라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1794년(정조 18) 2월에 시작하여 2년 6개월 만에 완공된 수원화성은 이 기간 동안 동원할 수 있는 역량과 기술을 총동원하였다.


조선의 성곽은 임진왜란(1592년) 때 소실되었다. 이로 인해 요새의 방어 체계와 능력에 대한 우려가 이어졌다. 임진왜란 때 재상을 지낸 서애 유성룡(1542~1607)은 전쟁이 끝나자 '징비록'을 쓰고 "옹성과 치성을 반드시 갖추어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이 말은 앞으로 수원화성 건설에 크게 반영되었다.


원래 수원시 행정사무소는 지금의 수원시에서 남쪽으로 약 8km 떨어진 화성군 태안면 송산리 화산 아래에 있었다. 정조대왕이 양주군 배봉산에 있는 아버지 묘를 옮기면서 수원읍과 민가를 옮길 수밖에 없었다. 이에 팔달산 아래 현재의 수원 지역으로 이전하였고, 이름은 화성이었다.


정조는 곧 화성에 들어갔다. 화성이라는 신도시 건설이 무르익어, 행궁이 성 안에 들어서게 되었다. 이에 정조는 원래 유성룡이 제안했던 설·형원·강항·조중봉·성설 등을 디자인 기본지침으로 삼고 있다. 실용사상이 큰 영향을 미치는 큰 사건이었다.


정조의 개혁정치의 총책임자였던 분암 채제공이 성소의 총지휘를 맡았고, 다산 정약용은 성곽의 전 과정을 기획·감독했다. 특히 정약용의 발명품인 글라이딩 카와 학이 매우 유용했다. 요즘 크레인(크레인)에 해당하는 이 크레인은 40보루 정도의 힘으로 2만5000보루 정도의 무게를 들어 올릴 수 있었다고 한다. 이에 따라 이전보다 공사기간이 5분의 1 단축됐다. 물론 우리나라 과학기술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댓글